[1과목 데이터 이해]
문제 1. 다음 중 빅데이터 분석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1) 더 많은 데이터가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하는 것은 아니다.
2) 비즈니스의 핵심은 객관적이고 통찰력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그것이 중요하다.
3) 분석적 방법과 성과에 대한 이해 부족은 빅데이터 과제에 대한 걸림돌이다.
4) 데이터 크기가 커질수록 더 많은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경쟁우위 확보의 원천이다.
* 빅데이터가 가져다 주는 기회는 데이터의 크기에 있다기보다는 음성, 텍스트, 로그, 이미지나 비디오 같은 새롭고 다양한 정보 원천의 활용에 있다.
[2과목 데이터 분석 기획]
문제 2. 분석 준비도의 분석 업무 영역이 아닌 것은?
1) 업무별 적합한 분석 기법 사용
2) 최적화 분석 업무
3) 발생한 사실 여부 파악
4) 예측 분석 업무
* 보기 1)는 분석 준비도의 분석기법 영역이다.
문제 10. 전사 차원의 모든 데이터에 대하여 정책 및 지침, 표준화, 운영조직 및 책임 등의 표준화된 관리체계를 수립하고 운영을 위한 프레임워크 및 저장소를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. 마스터 데이터, 메타 데이터, 데이터 사전은 ( ) 의 중요한 관리 대상이다.
- 답 : 데이터 거버넌스
728x90
'자격증 > ADsP(2023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전공자 ADsP(데이터분석 준 전문가) 합격 후기 (5) | 2023.05.07 |
---|---|
ADsP 생각 잘 안나는 단답형 정리 (0) | 2023.03.16 |
데이터분석 준 전문가(ADsP) 기출 33회 오답 (0) | 2023.03.14 |
데이터분석 준 전문가(ADsP) 기출 32회 오답 (1) | 2023.03.13 |
데이터분석 준 전문가(ADsP) 기출 31회 오답 (0) | 2023.03.12 |